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웹 독학
- 뤼이드
- 딥러닝
- C++
- 장영준
- multi-task learning
- 스무고개 Metric
- git password
- pytorch-tutorial
- flaks
- 오픈소스
- 경제 요약
- 110 옮기기
- aws rds
- but how?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여행경로
- flask
- 리멤버나우
- 미국 이란 전쟁
- 2003 에러
- 2003 error
- git-lfs
- 백준 2193
- 알고리즘
- 이베이 매각
- 프로그래머스
- cs231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리멤버나우 요약
- Today
- Total
Nam's
스무고개에 대한 고찰 본문
스무고개 기본 규칙:
1. 출제자가 '무엇'을 생각한다.
2. 질문자가 20번의 질문 혹은 정답을 얘기한다.
생각 1. 스무고개는 협동게임인가? 경쟁게임인가?
둘다 가능하다. 하지만 협동이냐 경쟁이냐에 따라 출제자의 협조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두명이 동시에 출제자이면서 질문자가 된다면 경쟁 스무고개도 할 수 있다.
생각 2. 질문의 범위와 좋은 질문에 대한 정의
일반적으로 스무고개에서는 '네', '아니오' 둘중 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해야한다.
하지만 의도적으로 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한다면 질문 횟수 차감 없이 출제가가 답변을 회피할 수 있다.
이때, 질문자는 질문 횟수 차감없이 힌트를 얻을 수도 있다.
출제자는 질문이 모호하다고 생각될 때 답변 회피 대신 다음과 같이 질문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질문자: 그것의 가격은 3만원이 넘어갑니까?
출제자:
제가 갖고 있는 것을 말씀드릴까요?
아니면 일반적인 가격을 말씀드릴까요?
아니면 가능한 모든 경우를 고려해서 말씀드릴까요?
+ 경쟁스무고개에서 모호한 질문에 대해 출제가가 '아니오'라고 답할 수 있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생각 3. '무엇' 의 범위
만질 수 없는 것을 출제할 수 있는 것은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규칙이다.
다만 추상적인 개념을 출제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사랑, 더움, 애틋함 같은 추상적인 단어들을 출제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정답의 범위 또한 합의가 필요하다.
손목시계를 출제했을 때, 질문자가 시계라고 도전하면 정답으로 인정해줘야 하는가?
레서팬더를 출제했을 때, 질문자가 팬더라고 도전하면 정답으로 인정해줘야 하는가?
팬더라고 답했는데 래서팬더니까 틀렸다고 했다가는 질문자에게 쳐맞을 수도 있으니까 충분한 각오가 필요하다.
생각 4. 경쟁스무고개 평가
경쟁스무고개에 대한 평가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1. 적은 질문 횟수로 맞춘 사람의 승리.
2. 더 빠른 시간 안에 맞춘 사람의 승리.
두 평가 방법 모두를 고려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질문 한 개당 시간 점수를 부여하거나, 더 빠르게 맞춘 사람에게 질문 횟수를 차감해주는 방식이 있다.
평가방법에 대한 기준은 지금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분야이며,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