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ytorch-tutorial
- 스무고개 Metric
- flaks
- git-lfs
- 미국 이란 전쟁
- multi-task learning
- 리멤버나우
- 웹 독학
- 장영준
- 코딩테스트
- flask
- 백준 2193
- 2003 에러
- git password
- 경제 요약
- 2003 error
- 딥러닝
- 뤼이드
- 리멤버나우 요약
- but how?
- 110 옮기기
- 프로그래머스 여행경로
- C++
- 이베이 매각
- 프로그래머스
- cs231
- aws rds
- 오픈소스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알고리즘
Archives
- Today
- Total
Nam's
[리멤버나우] 20.01.13 요약 본문
본 글은 [리멤버나우] 01.13 기사를 요약한 내용임을 밝힙니다.
은행과 증권사 펀드의 수익률이 인덱스펀드의 수익률보다 낮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재테크 전문가가 아니라면 전문가에게 맡기는 간접투자가 직접투자보다 낫다고 여겨져왔다.
하지만 요즘 펀드에 사건사고사 생기고, 인덱스펀드 수익률이 더 좋아지고 있다.
투자를 잘 모르기 때문에 간접투자를 하는 것인데, 어디에 간접투자를 하는 게 좋은 지도 잘 모른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어떤 리스크가 있고, 왜 예금보다 좋은지 모른다면 <간접투자를 하라>보다는 <투자를 하지 말라>고 권하는 게 낫다.
얼마든지 나쁜 펀드도 만들 수 있다.
인덱스펀드가 오르고 있는 이유는 오르기 때문이다.
인덱스펀드가 좋다고 투자가 몰리면서 지수에 편입된 종목들이 더 오르게 된다. 순환현상이다.
이건 세계적인 현상이라고 한다.
(한편, 인덱스펀드도 펀드는 펀드다. 비슷하지만 완전히 내가 직접 운용하는 상품은 ETF다.
인덱스펀드와 ETF는 3가지 차이점이 있다.)
데일리 체크
- 우리나라 기준 금리는 1.25%이고, 3년짜리 국채의 이자율을 1.3% 정도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이 정도에서 1년 내내 유지되거나 약간의 변동만 있을거라고 예측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번 내리거나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 우리나라 금리가 글로벌 충격에 둔감해졌다. 최근 한국 채권이 안전한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외국인들의 이탈율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 게임과 음원, 전자책에 관해 유럽에서 엇갈리는 판결이 나왔다. 유럽사법재판소는 전자책의 중고거래가 위법이라고 판결했고, 프랑스는 게임의 중고거래를 막는 것이 위법이라고 판단했다. 현재 국내의 경우 디지털콘텐츠 제공업체들이 대부분 약관을 통해 중고거래를 막고 있다.
- 적금을 들어도 2%대 수익이 어려워지면서 발행어음에 수요가 쏠리고 있다.
'스타트업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멤버 나우] 20.02.27 요약 <코로나 때문에 치솟는 환율> (0) | 2020.02.28 |
---|---|
[리멤버 나우] 20.01.29 요약 (0) | 2020.02.01 |
[리멤버 나우] 20.01.16 요약 (0) | 2020.01.16 |
[리멤버나우] 10분독서 <리스크의 과학> (0) | 2020.01.13 |
[리멤버나우] 19.01.10 요약 (0) | 2020.01.1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