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03 에러
- 리멤버나우
- 웹 독학
- cs231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110 옮기기
- multi-task learning
- 딥러닝
- 백준 2193
- 프로그래머스 여행경로
- git password
- 스무고개 Metric
- git-lfs
- 리멤버나우 요약
- 경제 요약
- 장영준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 미국 이란 전쟁
- pytorch-tutorial
- 뤼이드
- 오픈소스
- 알고리즘
- 이베이 매각
- aws rds
- flask
- 2003 error
- but how?
- flaks
- C++
- Today
- Total
목록스타트업 (11)
Nam's

원문: http://now.rememberapp.co.kr/2020/01/13/6309/ 리스크가 없으면 보상도 없다 :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 리스크는 목표 달성에 필요한 만큼만 감수해야 한다. 내가 비합리적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 개연성 없는 일의 리스크를 과대평가하면 안된다. 리스크 부담으로 얻는 보상을 극대화해야 한다 : 인덱스 펀드처럼 분산투자해서 리스크를 상쇄시켜야 한다. 자기 영역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 : 헤지와 보험 같은 리스크 관리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불확실성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 아무리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데이터를 완벽하게 분석했어도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은 피할 수 없다.

본 글은 [리멤버나우] 01.13 기사를 요약한 내용임을 밝힙니다. 은행과 증권사 펀드의 수익률이 인덱스펀드의 수익률보다 낮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재테크 전문가가 아니라면 전문가에게 맡기는 간접투자가 직접투자보다 낫다고 여겨져왔다. 하지만 요즘 펀드에 사건사고사 생기고, 인덱스펀드 수익률이 더 좋아지고 있다. 투자를 잘 모르기 때문에 간접투자를 하는 것인데, 어디에 간접투자를 하는 게 좋은 지도 잘 모른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어떤 리스크가 있고, 왜 예금보다 좋은지 모른다면 보다는 고 권하는 게 낫다. 얼마든지 나쁜 펀드도 만들 수 있다. 인덱스펀드가 오르고 있는 이유는 오르기 때문이다. 인덱스펀드가 좋다고 투자가 몰리면서 지수에 편입된 종목들이 더 오르게 된다. 순환현상이다. 이건 세계적인 현상이라고 ..

[리멤버나우]는 경제 전문가들이 매일 아침 경제 이슈를 요약 설명해주는 컨텐츠다. http://now.rememberapp.co.kr/2020/01/08/6282/ 나는 한번 더 요약하고 정리해서 경제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어 보고자 한다. 1. 전시에 유가가 상승한다. 1월 8일 기준 이란과 미국의 준전시 상황 때문에 유가가 60달러에서 65달러까지 올랐었다. (현재는 다시 59로 떨어졌다) 2. 유가가 상승하면 경제성장률이 하락한다. 유가가 올라가면 거의 모든 생산 요소의 가격이 올라간다. 이어서 물가가 상승한다. 물가 상승은 소비 저하로 이어진다. 소비 저하는 GDP 성장률 감소로 이어진다. 특히 미국의 경우 GDP의 70%가 소비에 해당한다. 소비 심리 위축으로 미국 경제가 수축 국면에 접어들면 달..